PRODUCT
High tech high quality Seokwang Special Steel
메이커별
강종 | 구분 | 표 준 규 격 |
주 용 도 | |||
---|---|---|---|---|---|---|
KS | JIS | AISI | 유사강종 | |||
고속도 공구강 | KCW1, KCW2 | 특수강 절단, 특수강 단조, 특수강, 고철, 목공용, 제지용 나이프, 압출다이, 압출공구, 알루미늄, 동 주조 | ||||
KHW1, KHW2 |
생산강종 및 규격 보기
생산강종
구분 | 강 종 계 열 |
---|---|
탄소강 |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 C 0.035~2.0 %인
것을 말하며 이외에 약간의 규소, 망간의
합금원소를 함유하는 외에 인, 유황 등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C 0.12%이하인 것을 극연강, C 0.12 ~ 0.20% 인 것을 연강, C 0.21 ~ 0.35%인 것을 반연강, C 0.36~0.50%인 것을 반경강, C 0.51 ~ 0.80%인 것을 경강, C 0.81 ~ 1.70%인 것을 최경강이라고 부른다. |
저탄소 / 중탄소 / 고탄소 | |
합금강 | 강의
성질을 개선,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는 소정의
성질을 구비시키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킨 강을 말한다. 특수강에는 고급 탄소강과 합금강이 있는데, 합금강은 철과 탄소외에 니켈, 크롬, 망간, 규소, 텅스텐, 몰리브덴, 코발트, 알루미늄, 티타늄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한 강이다. |
Mn / Mn-Cr / Mn-Ni / Mn-Mo / Mn-Ni-Mo / Cr / Cr-Mo / Cr-Si / Ni / Ni-Cr / Ni-Cr-Mo / Si-Mn-Cr / Mo / Mo-Si | |
소입성보증강 | H강으로도 불리며 이 강은 자동차 공업 및 항공기공업의 부품용 소재에 주로 사용되며 열처리 작업에 의해 고도의 품질균일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품소재의 균일한 경도를 얻기 위하여 재질에 따라 소정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통계적 기법으로 그 경도의 범위를 규정한 강이다. |
Mn
/ Mn-Cr / Cr-Mo / Ni-Cr
/ Ni-Cr-Mo |
|
비조질강 | 비조질강은
일반적으로 조직열처리(Q/T)를 생략하고
부품단조후 방냉처리하여 직접 절삭가공만으로
부품에 적용하는 열간단조용 비조질강과 조질처리없이
절삭가공만으로 소재상태에서 직접 부품에
적용하는 절삭가공용 비조질강으로 크게 나뉜다.
|
탄소 / Mn |
|
질화강 | 질화강은
구조용 부품의 표면의 질화처리에 의해 표면경화
시킨 강을 말하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 열처리 변형이 적고 내열성이 있다. - 피로강도가 크다. 그래서 질화강은 주로 정밀한 기계부품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 필요로 하는데 사용된다. |
Cr-Al
/ Cr-Mo-Al |
|
고장력강 | 고장력강은
연강에 탄소 이외에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그 기계적성질과 용접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킨
구조용강이다. 일반적으로 합금원소로는 Mn,
Si, Ni, Mo, Cu, V, Ti,
B 등이 조금씩 첨가된다. 고장력강으로된 대형의 체인은 오래전부터 선박의 기계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선박의 대형화와 석유자원 개발을 위한 석유시추선 rig의 계류에 사용되어지면서 그 수요는 점차 증가추세에 있다. |
고장력
/ 초고장력 |
|
스프링강 | 스프링강은
자동차산업을 비롯한 각종 산업기계에 사용되는
핵심부품 소재로서 용도특성상 설계응력하에서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강도와 영구변형 저항성이
스프링의 수명에 직결되므로 소재 제조시
최적 합금설계, 고강도화, 고청정화 및
표면품질의 엄격관리가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주 용도는 자동차 코일스프링, 겹판 스프링, 토션바, 등 현가장치 부품과 주행안정성 부품인 스테빌라이져에 사용되고 있다. |
고탄소
/ Cr-Mo / Si-Mn / Si-Cr
/ Mn-Cr / Mn-Cr-V / Mn-Cr-B
/ Mn-Cr-Mo / Mn-V |
|
쾌삭강 | 최근의
기계공업의 발전에 따라 기계 절삭 가공에
대한 고능률화 및 부품의 가공 정도의 향상,
가공비의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강재의 피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삭성원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최근에는 자동차 부품에 이르기까지 각종 쾌삭강이 개발되고 있다. |
C-S
/ Mn-S / Cr-Mo / S-P |
|
베어링강 | 베어링강은
자동차 및 각종 기계부품에서 동력축과 회전체를
연결하는 베어링의 소재로 사용되며, 베어링의
내구수명이 소재의 산소 및 Ti 등의 불순물
함량과 비금속개재물 그리고 거대탄화물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정련공정 미세제어 및
최적 가열조건에 의해서만 제조가능한 고청정강이다.
또한 소재의 단조성(열간 및 냉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엄격한 표면품질이 요구된다. |
고탄소
/ 침탄 |
|
보론강 | 보론강은
고가의 원소인 Ni, Cr, Mo 대신에
B을 첨가하여 담금질성을 향상시킨 강으로
인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특히 고강도,
고경도, 내마모성을 갖는 강종이다. 주로
건설 중장비용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탄소 / Mn / Mn-Cr / Cr-Mo / Ni-Cr-Mo | |
특수용도강 | 기계구조용 / 철도용 / 공구강용 / 내열강 / 특수합금강 / 스테인레스강 / 냉간압조용강 |
기 타 | 터널지보용
특수본강 KTB600/500 / Dowel
Bar / Q/T봉강 / Q/T각재 /
Axle |
생산규격
구분 | 특징 | |
---|---|---|
대형압연재 |
고청정 용강에서 얻은 연주 Bloom 및 Ingot를 이용하여 압연한 제품 | |
봉재 | 직경 60, 70, 80, 85, 90, 95, 100, 105,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 |
각재 | 각 65, 72, 85, 90, 95, 100, 110, 120, 155, 180 | |
평철 | 폭(W) 255, 305, 355, 405
두께(t) 32, 38, 45, 50, 60, 70, 80, 100, 120 |
|
소형압연재 |
중앙제어 압연시스템으로 billet를 소재로 생산된 소형재 | |
봉재 |
|
|
평철 |
|
|
Bar in Coil |
|
|
2차가공재 | 고부가가치 특수강 제품 | |
봉재 |
|
|
QT | 직경 30∼420(같은 단면적의 각재 포함) 공정 : Q/T, Q/T-RT, RT-Q/T, Q/T-SRA, Q/T-CD |
|
단조재 |
Ingot 및 Bloom을 이용 내질이 우수한 자유단조재 | |
봉재 | 직경 230∼600 | |
각재 | 250×230∼510×500 에 준하는 제품 | |
AXLE | 200∼250의 철차축 |